# David Lee (미국형님) 개인방송 내용을 보고 정리한 것 + 개인 공부를 통해 추가한 내용입니다.
## 미국의 은행이 이웃 은행한테 급전을 빌릴 때의 금리를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라 합니다. 만약 연방기금금리가 높다면 일반 시민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의 금리도 높아지게 됩니다.
1. 연방 기금 금리 (Federal fund rate)란?
▶ Federal fund rate : 미국의 은행간에 돈을 빌릴 때의 금리를 연방기금금리 라고 한다.
2. T-bill 이란?
▶1년 안에 돈을 갚기로 하고 미국 정부가 발행한 차용증을 ‘Treasury Bill’, T-bill 이라고 한다.
▶T-bill 과 더불어 T-bond, T-note에 대해서 더 알아보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 turtle-hobby.tistory.com/7?category=912511
3. Federal fund rate 와 T-bill 과의 관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federal fund rate 와 T-bill 간의 관계를 보면 미국 경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래 그림은 3가지 그래프를 나타낸다.
==> 지표들을 어떻게 그래프로 그렸는지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조해주세요 turtle-hobby.tistory.com/30
파랑선 : Federal Fund rate
빨강선 : T-bill rate
노란선 :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의 차이
▶회색 블락 친 부분들은 미국경제에 Recession 이 왔을 때를 의미한다.
( Recession : 경제가 3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때를 의미한다.)
▶Federal Fund rate 가 급상승한 뒤에는 Recession 이 온 경우가 많았다.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는 거의 항상 겹쳐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Recession 전에는 그 차이가 벌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그래프의 노란색 선 )
▶이때, Federal Fund rate 가 급상승 한다는 의미는 ??
==> 경제가 좋지 않으니, 은행끼리 돈을 빌려줘도 못갚을 수 있다는 판단이든다는 것이다.
==> 그정도로 경제가 안좋아질 가능성이 높다 라고 판단할 수 있다.
▶"과거에 그랬던 것이 100%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라고 말할순 없지만 가능성이 높다고는 말할 수 있다.
==> 가능성을 두고 risk managing 을 하는 것이다.
▶ 위 그림에서 2008년 금융위기 전의 상황을 보면, 위에서 언급한 상황과 같다.
(1) Federal fund rate 과 T-bill rate 이 치솟는다
(2)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의 차이가 증가한다.
(3) Recession 이 왔다.
▶미국형님이 영상을 찍으셨던 2015년 8월 즈음에는 S&P 500 이 많이 빠지고 있었는데, 이것이 Recession 을 의미했을까????
==> 답은 아니다.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를 살펴보면 값이 튀지도 않고, 거의 차이가 없이 flat 하게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심각한 경제 위기 상황은 아니고 Correction (조정장) 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 실제 미국형님이 예측한 대로, 2021년 현재까지 그래프를 길게 보았을때, 2015년 후반기에 살짝 조정장이 있긴 했지만, 2020년까지 상승장이 계속 이어졌다.
▶하지만 2017년부터 Federal fund rate 이 올라가는 모양이 나타나고 있었고,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 와 겹치면서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의 차이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가 2020년에 있었다.
==> 이때 그림과 같이 S&P 500 지수가 폭락했었고, federal fund rate 와 T-bill rate 의 차이가 다시 거의 없어지는 flat 한 구간이 나타나면서 2021년 1월 현재까지 엄청난 상승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제적 지식이 없어서 다른 변수들을 고려하지는 못하지만 2008년 금융 위기와 2020년 코로나 위기에서의 위 그래프 패턴이 비슷하게 보인 것으로 생각되고, 코로나를 핑계로 금융시장이 다시한번 상승장의 초입을 맞이한것이 아닌가... 그렇게 보이기도 한다. ( 내 생각이라 틀릴 가능성이 더 높지만...)
## 영상의 댓글에 달려있는 질문들과 미국형님의 답변이 정말 유익하니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드린다.
==========================================================================
David Lee 미국형님 채널 영상 : www.youtube.com/watch?v=10BT-Fko0bI
==========================================================================
참조 글 (1) : T-bill , T-note, T-bond
turtle-hobby.tistory.com/7?category=912511
용어 공부(1) - Treasury Bond (미국채), Treasury yield curve(국채수익률곡선)
1. 미국 국채(Treasury Bond)란??? 미국 재무부에서 재정적자 보전을 위해 발행하는 국채를 말한다. 국채는 만기 기한 (maturity)와 이자지급 방식에 따라서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발행단위는 보통 1,000
turtle-hobby.tistory.com
참조 글 (2) : FRED 사이트에서 경제지표 그래프 그리는 방법